기존 자전거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노후화, 편의성의 부재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또한 적절한 매칭을 위해, 평가 서비스를 통하여 노쇼 유저를 제한하는 기능 또한 제공합니다.
💡 배포 사이트
Scrum Master | Lead Developer | Developer | Developer | Developer |
|
|
|
|
|
Partey(김훈기) | Bob(김민성) | Didi(김현정) | Pray(이민재) | Kant(이한빈) |
- Partey : User 회원 가입 및 Kakao OAuth 연동
- Bob : 백엔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관리, Riding 댓글 API 구현, 배포 환경 이슈 트러블 슈팅
- Didi : Riding 생성 및 수정, 평가 기능 API
- Pray : 라이딩 조회, 라이딩 조건별 검색, 알림 서비스
- Kant : ERD 설계, 사용자 정보 수정 및 조회 기능 개발, 이미지 업로드 기능 개발
카카오 회원가입/로그인
- 카카오 간편 회원가입을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하고, 로그인할 수 있음
라이딩 참여
- 모집 중인 라이딩에 참여 신청을 할 수 있음
라이딩 주최
- 지정된 양식에 따라 라이딩 모집 게시글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음
라이딩 검색
- 자전거 종류, 모집 상태, 레벨, 지역에 따른 라이딩 모집 게시글을 검색할 수 있음
알림
- 주최했던 라이딩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가 신청-취소하면 그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음
마이페이지
- 참여한, 참여했던 라이딩 정보와, 내가 주최했던 라이딩 게시글 정보들을 볼 수 있음
- 회원 정보를 수정할 수 있음
평가
- 참여했던 라이딩에 대하여, 참여자들을 평가할 수 있음
- 라이딩을 주최한 라이딩 리더는, 멤버들의 노쇼 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멤버에게 제약을 줄 수 있음
- Github Actions를 통한 CI/CD 를 진행하고, 이를 통과해야만 PR이 merge됩니다.
- build된 Docker image를 dockerhub으로 push하고, EC2 서버의 docker에서 이를 pull받아 실행하는 방식으로 배포를 진행합니다.
- 서버에서 발생한 에러에 대한 메시지를 slack, file으로 전달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Grinder, PINPOINT를 사용하여 부하 테스트를 진행, 서버의 요청 처리 성능을 모니터링합니다.
- 브랜치 전략 : Git-Flow 사용
main
: EC2서버로 배포되는 브랜치develop
: 배포되기 위한 타깃 브랜치feature
: 기능 개발 브랜치hotfix
: main에서 발생한 버그를 해결하기 위한 브랜치release
: 추후 추가된 브랜치로, 배포 전용 브랜치
Zenhub
: 개발 및 이슈 관리를 위한 협업 툴로 사용Slack
: 비동기적 소통 툴로 사용Notion
: 주요한 문서 작업(일정 관리, 엔지니어링 위키 등)을 위한 툴로 사용
Port & Adapter
구조를 이용하여, 도메인 로직이 infra계층에 의존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걸 목표로 적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