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tatic edited this page Jun 21, 2018 · 47 revisions

상위 문서: 명령
아희++의 문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만약 문법을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 예외 처리에 근거하여 적절한 예외 처리가 진행됩니다.

명령의 구성

명령은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집니다. 초성은 실행할 명령의 대략적인 유형을 나타냅니다. 중성은 진행 방향을 나타내며, 종성은 초성에 덧붙여질 추가적인 정보를 나타냅니다.

종성에는 종성 인수라고 불리는 초성에 대한 적절한 받침이 와야 합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각 명령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명령의 처리 과정

  1. 진행 방향을 결정합니다. (until v1.0)
    명령을 수행합니다. (since v1.1)
  2. 명령을 수행합니다. (until v1.0)
    중성을 기반으로 진행 방향을 결정한 후, 명령의 수행 결과 및 무시 여부, 모드 등 진행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수들에 따라 진행 방향을 재결정 합니다. (since v1.1)
    • 이 때 진행 방향이 재정의 될 수도 있습니다. (예: 명령 ㅊ) (until v1.0)
  3. 진행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명령의 진행

시작 위치

아희++ 코드의 가장 왼쪽 위에 있는 명령부터 처리됩니다. 내부적으로는 0행 1열에 라는 명령이 있는 것으로 처리됩니다.

행 또는 열의 맨 끝에 도달했을 때

아희++ 코드의 그 반대쪽 맨 끝으로 이동하여 계속 진행됩니다.

진행 방향

  • ㅏ와 ㅑ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전자의 경우 1칸, 후자의 경우 2칸을 진행합니다.
  • ㅓ와 ㅕ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전자의 경우 1칸, 후자의 경우 2칸을 진행합니다.
  • ㅗ와 ㅛ
    위쪽으로 진행합니다. 전자의 경우 1칸, 후자의 경우 2칸을 진행합니다.
  • ㅜ와 ㅠ
    아래쪽으로 진행합니다. 전자의 경우 1칸, 후자의 경우 2칸을 진행합니다.
  • ㅡ와 ㅣ
    전자의 경우 가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을 경우 그대로 진행하고, 세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을 경우 진행 방향을 반사시킵니다. 후자의 경우 그 반대입니다.

  • 진행 방향에 관계 없이 진행 방향을 반사시킵니다.

종성에 ㅣ가 더해진 형태

  • ㅏ + ㅣ =
  • ㅓ + ㅣ =
  • ㅗ + ㅣ =
  • ㅜ + ㅣ =
  • ㅑ + ㅣ =
  • ㅕ + ㅣ =
  • ㅛ + ㅣ =
  • ㅠ + ㅣ =
  • ㅡ + ㅣ =
  • ㅣ + ㅣ =
  • ㅢ + ㅣ = 존재하지 않음

명령이 아닌 문자가 실행 대상이 될 경우

예를 들어, 밯A망히라는 아희++ 코드가 있을 경우 명령 다음에는 A가 실행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무 명령도 수행하지 않습니다. 진행 방향의 경우 가장 최근에 정상적으로 처리된 명령의 진행 방향대로 진행됩니다.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