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TodoList
-
styled-component사용해보기 ( HTML 내에서 첫 번째 렌더링에 필요한 스타일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클라이언트에서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tyled-components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 이미 적용되어있는 스타일을 초기화 하기위해 전체선택자 '*'을 사용하여 margin:0; 등을 지정할 수도 있으나, 이미 있는 모든 스타일을 초기화 하는 styled-reset등을 사용하면 브라우저 호환성을 높일 수 있음 (styled-reset을 설치한 뒤 글로벌 css에 reset만 import해주면 됨)
-
필요한 색상을 미리 객체로 정리해 파일로 만들어두고 import해서 사용.
-
타입파일을 만들어 관련타입끼리 관리.
- todo.d.ts 라는 파일을 만드는데 이 d.ts 라는 확장자의 파일은 타입스크립트의 타입추론을 돕는 파일.
-
import해올 svg파일을 리엑트 컴포넌트로 변형시키기 위해 바벨 플러그인을 설치 & 설정 추가
yarn add babel-plugin-inline-react-svg -D
-
.babelrc 에도 설정을 추가해주고,
-
import TrashDelIcon from "../../../../public/svg/trash_delete.svg"; 처럼 import 해서 사용.
- *: .svg라는 모듈을 찾지못한다는 에러가 발생하는데, 이 모듈에 대한 타입을 지정한다면 해결됨. ==> image.d.ts파일에 declare module '.svg'; 를 적어주고 저장하면 '*.svg'가 모듈로 선언되어 에러는 사라짐.
위의 방법을 사용하니 경로설정이 잘못되었는지 계속 에러가 발생해 컴포넌트로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axios를 이용해 만든 api에 요청하기
-
PATCH 메서드를 사용해 일부를 업데이트 해보기.
-
PUT 메서드와 PATCH 메서드의 차이점
둘다 업데이트를 담당하는 메서드이다. 다만 , PUT메서드는 전부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메서드 이기에 모든 값을 적어주어 보내주지 않으면 보내주지 않은 값에 대해서는 null이 나온다.
PATCH 메서든 일부를 업데이트할 때 유용하다. PUT 메서드와는 다르게 일부값만 보내도 나머지는 원래값이 들어간 상태로 나오게 된다. 즉. PATCH 메서드를 사용하면 필요한 부분만 수정해도 null값이 나오지 않고 원하는 업데이트 자료(?) 를 얻을 수 있다!!
res.send()는 send에 전해진 argument에 따라서 Content-type이 자동적으로 만들어진다. 이게 기본이다. res.json()은 json이 아닌 것도 json 형식으로 바꾸어서 보내준다. 즉 content-type 헤더를 application/JSON으로 고정한다. 그런데 결국 res.json()도 마지막에 res.send()를 호출한다. res.end()는 보내줄 아무 데이터도 없는데 response를 끝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
import { NextPage } from "next";
export default function Main(): JSX.Element {
return (
<>
<div>Hello Typescript</div>
</>
);
}
- const Main으로 함수를 만든뒤 Main: 해서 적으면 Main이라는 변수의 타입을 의미하는데,
- pages폴더에서의 컴포넌트 타입은 NextPage이다.
- 화살표 함수형으로 적고 변수뒤에 타입을 NextPage로 적어주면 되는데
- 함수 선언식의 경우에는 NextPage타입을 사용하는 함수는 반환형이 JSX.Element으로 명시해줘야한다.
- 함수의 이름을 지정하고 export default 함수이름 으로 명시적으로 내보내는 것이 가독성이 좋다.
import type 구문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타입스크립트 환경에서 JSX.Element 타입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으므로, import React 구문 없이도 JSX.Element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NextPage 타입도 일부 경우에는 이미 다른 모듈에서 불러와져서 사용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NextPag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mport type { NextPage } from 'next' 구문을 추가해야 합니다.
신기한 사실을 알게되었다. 컴포넌트를 분리하고 스타일파일을 따로 만들었더라도, 이어붙인 컴포넌트에 해당 className이 있다면 그대로 적용이된다. => bg-${컬러이름} 이 부분이 listItem에 자동으로 적용되었다.
- delete메서드를 활용해 특정 List를 삭제하고,
- patch메서드를 사용해 checked를 true로 바꾸어 완료표시를 하거나, 다시 되돌리기,
- get메서드를 사용해 저장해 놓은 데이터 가져오기,
- post메서드를 사용해 List추가하기
- 상태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redux를 활용해보았다.
- 구조중심이 아닌 기능중심으로 파일을 나누는 ducks패턴 사용해보기.-> 아직 감이 잡히지 않는다.. 많이 사용하다보면 공부가 될 것같다.
리덕스를 사용해 서버사이드에서 api로 받아온 투두리스트 데이터를 리덕스 스토어에 저장 저장된 스토어를 클라이언트에 전달.
리덕스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리덕스 툴킷 이라는 것을 설치 하라고 권장하는 것을 보았다. 첫 설치때는 안나와있어서 왜지 싶었는데 순서가 좀 뒤로 밀렸던것 같다. 오늘은 리덕스 툴킷을 설치해본다. => 리덕스 사용을 더 간편하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리덕스 툴킷에는 데브툴즈가 자체적으로 포함되어있다. 설정에서 configureStore에 devTools:true만 해주면 데브툴즈를 사용할 수 있다.
// 미들웨어 적용을 위한 스토어 enhancer
// const bindMiddleware = (middleware: any) => {
// if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 const { composeWithDevTools } = require("redux-devtools-extension");
// 리덕스 툴킷이 없을때 데브툴을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고 설정해주었던 부분
// return composeWithDevTools(applyMiddleware(...middleware));
// }
// return applyMiddleware(...middleware);
// };
==>
const initStore = () => {
return configureStore({
reducer,
// bindMiddleware([])
devTools: true, // 데브툴즈 사용허용
// 툴킷을 설치한 후에는 안에 포함되어있는 데브툴즈를 허용만 해주면 설정끝
});
};
-
리덕스 스토어의 값 받아오기 useSelector의 state타입은 RootState에서 가져오기
> // 스토어 타입 > export type RootState = ReturnType<typeof rootReducer>; >
다만 매변 RootState를 불러와 타입을 지정해주는것이 조금 번거로우니 아예 타입을 지정해 놓은 useSelector를 만들어 사용해보자.
-
useSelector 사용해 todos불러오기 ==> todo값을 받아옴.
액션실행 => dispatch사용!!
액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디스패치를 통해 실행한다. 디스패치를 간단히 사용하는 방법은 useDispatch 라는 훅을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