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19 changes: 19 additions & 0 deletions 백준/Silver/1463. 1로 만들기/1로 만들기.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9 @@
n = int(input())

def make_one(n):
# dp[i]: 숫자 i를 1로 만드는 데 필요한 최소 연산 횟수를 저장할 리스트
# n + 1인 이유는 인덱스를 1~n까지 사용하려고
dp = [0] * (n + 1)
# 1은 시작 숫자이자 목표 숫자니까, 이미 최소 연산 횟수가 0임 그래서 dp[1] = 0은 초기값으로 생각하고, 2부터 n까지에 대해서만 계산
for i in range(2, n + 1):
# 현재 수에서 1을 빼는 경우
dp[i] = dp[i - 1] + 1
# 현재 수가 2로 나누어떨어지는 경우
if i % 2 == 0:
dp[i] = min(dp[i], dp[i // 2] + 1)
# 현재 수가 3으로 나누어떨어지는 경우
if i % 3 == 0:
dp[i] = min(dp[i], dp[i // 3] + 1)
return dp[n]

print(make_one(n))
36 changes: 36 additions & 0 deletions 백준/Silver/1463. 1로 만들기/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6 @@
# [Silver III] 1로 만들기 - 1463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 성능 요약

메모리: 40224 KB, 시간: 248 ms

###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제출 일자

2025년 4월 7일 01:43:09

### 문제 설명

<p>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다.</p>

<ol>
<li>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li>
<li>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li>
<li>1을 뺀다.</li>
</ol>

<p>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연산 세 개를 적절히 사용해서 1을 만들려고 한다.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p>

### 입력

<p>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sup>6</sup>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p>

### 출력

<p>첫째 줄에 연산을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p>

52 changes: 52 additions & 0 deletions 백준/Silver/2579. 계단 오르기/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2 @@
# [Silver III] 계단 오르기 - 2579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2579)

### 성능 요약

메모리: 32412 KB, 시간: 40 ms

###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제출 일자

2025년 4월 22일 02:35:22

### 문제 설명

<p>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그림 1>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를 얻게 된다.</p>

<p style="text-align: center;"><img alt="" src="" style="width: 300px; height: 160px;"></p>

<p style="text-align: center;"><그림 1></p>

<p>예를 들어 <그림 2>와 같이 시작점에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계단을 밟아 도착점에 도달하면 총 점수는 10 + 20 + 25 + 20 = 75점이 된다.</p>

<p style="text-align: center;"><img alt="" src="" style="width: 300px; height: 190px;"></p>

<p style="text-align: center;"><그림 2></p>

<p>계단 오르는 데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p>

<ol>
<li>계단은 한 번에 한 계단씩 또는 두 계단씩 오를 수 있다. 즉, 한 계단을 밟으면서 이어서 다음 계단이나, 다음 다음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li>
<li>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 된다. 단,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li>
<li>마지막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li>
</ol>

<p>따라서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두 번째 계단이나, 세 번째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 하지만,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네 번째 계단으로 올라가거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계단을 연속해서 모두 밟을 수는 없다.</p>

<p>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질 때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p>

### 입력

<p>입력의 첫째 줄에 계단의 개수가 주어진다.</p>

<p>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제일 아래에 놓인 계단부터 순서대로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진다. 계단의 개수는 300이하의 자연수이고,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는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p>

### 출력

<p>첫째 줄에 계단 오르기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출력한다.</p>

17 changes: 17 additions & 0 deletions 백준/Silver/2579. 계단 오르기/계단 오르기.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7 @@
n = int(input())
score = [int(input()) for _ in range(n)]

if n == 1:
print(score[0])
elif n == 2:
print(score[0] + score[1])
else:
dp = [0] * n
dp[0] = score[0]
dp[1] = score[0] + score[1]
dp[2] = max(score[0] + score[2], score[1] + score[2])

for i in range(3, n):
dp[i] = max(dp[i-2] + score[i], dp[i-3] + score[i-1] + score[i])

print(d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