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3장]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4

Open
icstuckyi opened this issue Feb 15, 2023 · 2 comments
Open
Assignees
Labels
3장 물리 계층

Comments

@icstuckyi
Copy link
Owner

icstuckyi commented Feb 15, 2023

LESSON 0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전기 신호란?

  • 데이터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OSI 7계층 중 최하단 계층인 물리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1. 아날로그 신호, 2. 디지털 신호가 있다.
    1. 아날로그 신호: 전화 회선, 라디오 방송 등에 사용
    2. 디지털 신호: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변환 신호

image

  •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1. 송신 측 컴퓨터가 만들어낸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2. 전기 신호로 전송한다.
    3. 수신 측 컴퓨터는 수신한 전기 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한다.

image

랜 카드란?

  •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 주는 장비이다.
  • 물리 계층
  •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
  •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계층
@icstuckyi icstuckyi added the 3장 물리 계층 label Feb 15, 2023
@icstuckyi
Copy link
Owner Author

icstuckyi commented Feb 15, 2023

LESSON 10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란?

  • 네트워크의 전송 매체는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이다.
    • 유선: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일반적인 랜 케이블), 광케이블 등
    • 무선: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
  • 이 중 일반적인 랜 케이블인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UTP, STP 2종류가 있다.
    • UTP 케이블: Unshielded Twist Pair. 비차폐 연선
      • 구리선 8개를 2개씩 꼬아 만든 4쌍의 전선을 실드로 보호하지 않은 케이블이다.
      • 실드로 보호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의 노이즈를 막지 못한다.
      • 대신 가격이 저렴하다. (일반적으로 랜케이블에 UTP를 사용하는 이유)
    • STP 케이블: Shielded Twist Pair. 차폐 연선
      • 구리선 8개를 2개씩 꼬아 만든 4쌍의 전선을 실드로 보호한 케이블이다.
      • 외부의 노이즈를 막을 수 있다.
      • 대신 가격이 비싸다.

image

  • 랜 케이블의 양쪽 끝에는 RJ-45 라는 커넥터가 붙어 있어, 이 커넥터를 랜 포트 등에 연결할 수 있다.

image

  • 랜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 품질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분류 규격 속도
Cat3 10BASE-T 10Mbps
Cat5 100BASE-TX 100Mbps
Cat5e 1000BASE-T 1000Mbps
Cat6 1000BASE-TX 1000Mbps
Cat6a 10GBASE-T 10GMbps
Cat7 10GBASE-T 10GMbps

100Mbps 이하의 속도에서는 구리선 8개 중 4개만 사용한다(나머지는 접지, 예비용)
속도가 1GMbps 이상일 경우에는 8개 선을 다 사용해야 속도가 나온다고 한다.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이란?

  • 랜 케이블은 8개의 구리선을 어떤 순서로 연결했느냐에 따라 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다이렉트 케이블:
    • 구리 선 8개를 같은 순서로 커넥터에 연결한 케이블
    •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때 사용

image

  • 크로스 케이블:
    • 구리 선 8개 중 한쪽 커넥터의 1번, 2번에 연결되는 구리선을 다른 쪽 커넥터의 3번, 6번에 연결한 케이블
    • 컴퓨터와 컴퓨터 간에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할 때 사용
    • 두 컴퓨터 모두 1, 2번 구리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 컴퓨터를 연결할 때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면 데이터가 충돌하게 된다.

image

@icstuckyi
Copy link
Owner Author

icstuckyi commented Feb 15, 2023

LESSON 11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

  • 통신하는 상대가 멀리 있으면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거나 노이즈를 받아 전기 신호가 일그러진다.
  • 리피터는 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정형(복원)하고 증폭하여 파형을 정상으로 만들어준다.
  • 일대일 통신만 가능하다.
  • 최근에는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여 수요가 없어졌다.

image

허브

  • 리피터의 기능을 대신해 줄 수 있으므로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 포트(데이터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으므로 컴퓨터 여러 대와 서로 통신해 줄 수 있다.
  • 그러나 허브는 특정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도 받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
    즉 불필요한 데이터를 판단하지 않고 전기 신호를 무조건 모든 포트로 다 보내주므로 더미 허브라고 불리기도 한다.
  • 그 비효율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나온 장비가 스위치 이다.

image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3장 물리 계층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