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1장] 네트워크 첫걸음 #2

Open
keiwin49 opened this issue Jan 23, 2023 · 7 comments
Open

[1장] 네트워크 첫걸음 #2

keiwin49 opened this issue Jan 23, 2023 · 7 comments
Assignees
Labels
1장 네트워크 첫걸음

Comments

@keiwin49
Copy link
Collaborator

keiwin49 commented Jan 23, 2023

LESSON 00 네트워크 입문 강의 개강!

  • 웹 브라우저(ex. 크롬, 파이어폭스 등)에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는 것은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 덕분
  • 네트워크를 알아야 웹사이트에 접속이 안될 경우에도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원인이 무엇인 지 알 수 있다!
  •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있고, 그 기능은 여러 계층(레이어)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 계층 구조를 이해하면 문제 발생 원인이 네트워크 장비단에서 발생했는지,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발생했는 지 파악 가능
@keiwin49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keiwin49 commented Jan 23, 2023

LESSON 01 네트워크의 구조

네트워크

  • 이 책에서는 컴퓨터 간의 연결을 의미 (그 외에도 범용적으로 사람과 사람사이, 물류 네트워크, 철도/교통 네트워크 등의 용어로 사용)
  •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음
  • 인터넷 = 전세계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을 연결한 거대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컴퓨터간의 파일 전송, 웹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 등의 작업 가능
    • 컴퓨터 한 대는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지만 여러 대가 연결 되어있으면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

패킷

  •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한다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보내야한다는 것!
  • 패킷 =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물건을 택배상자에 나누어 보내듯)
    • 네트워크 대역폭(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너무 많이 점유하여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지 않도록 큰 데이터도 작게 나누어 보내야 함
    • ex. 승용차가 다닐때 원활한 도로가 대형 트럭이 진입하게 되면 흐름을 방해하게 됨
  • 용량이 큰 이미지 파일을 아래와 같이 패킷으로 나눠 보내게 되면 순서없이 제각각 도착함
  • 목적지에 도착하더라도 다시 정렬하는 작업이 필요
    • 목적지로 보낸 패킷이 전송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거나
    • 네트워크 지연으로 늦게 도착하거나
    • 패킷이 누락되기도 함
  • 송신 측에서 수신측으로 패킷을 보낼 때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보낸다
  • 도착한 데이터를 모아 번호대로 정렬하면 늦게 도착한 패킷도 원래 위치로 맞출 수 있다

@keiwin49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keiwin49 commented Jan 23, 2023

LESSON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비트(bit)와 바이트(byte)

  • 디지털 데이터 = 0과 1의 집합 (컴퓨터는 0과 1만을 다룰 수 있음)
  • 0과 1이 많이 모이면 글자도, 숫자도, 사진도, 동영상도 나타낼 수 있다!
  •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한다
  • 비트가 8개 모인 것을 바이트(byte)라고 한다

  • 0과 1만으로 문자를 표현하는게 어떻게 가능?
    •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미리 만들어두었기 때문(ex. 숫자 65는 대문자 A, 66은 대문자 B..)
    • 아스키(ASCII), UTF-8 등 다양한 문자 대응표(encoding 방식)이 있다.

왜 bit가 8개만 가지고 모여 byte가 된걸까?

  • 1바이트란? : 2의 8제곱 즉 2^8 으로 256종류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의 양
  • 비트가 정보표현의 최소단위라면 바이트는 숫자나 글자, 로마자 등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기본단위이다.
  • 컴퓨터는 미국에서 주로 발전한 기계인데, 처음 컴퓨터를 통해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규약인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도 알파벳을 포함한 미국에서 사용하기 위한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것
  • 이때 ASCII의 총 문자수가 공백을 포함하여 128자였기 때문에 7bit 만으로 모든 문자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
  • 여기에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Parity bit) 1개를 추가하여 8비트를 최소의 연산 단위인 바이트로 정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
  • 출처 : https://devbull.xyz/1baiteuga-8biteuin-iyu-the-reason-why-1byte-equals-to-8bit/
  • 문자데이터도 패킷으로 나누어서 네트워크에 전송
  •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비트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로 네트워크에는 전기신호가 전송되고 있다
    • (0과 1의 형태로 전송되는게 아니다!)

@icstuckyi icstuckyi added the 1장 네트워크 첫걸음 label Jan 23, 2023
@keiwin49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keiwin49 commented Jan 25, 2023

LESSON 00~02 QnA

  • 패킷의 크기는 일정한가?
    • 네트워크 종류에 따라 적절한 패킷 크기도 달라진다
    • 일단은 고정된 크기로 보내지는 것은 맞음
  • 패킷 번호는?
    • 첫번째 패킷의 번호는 0, 두번째 번호는 패킷 크기만큼 증가한 번호(ex. 1460), 세번째는 그다음 패킷크기만큼 증가한 번호(ex. 2920) 등으로 순서 번호 가 부여된다.
    • 확인응답 번호라는 개념도 있는데 이건 이후에 프로토콜 배우면서 봐야 알듯.

  • 문자 대응표(encoding 방식)를 알아야 파일을 열때 / 전송할 때 한글이 깨지는 경우에 잘 대처할 수 있다!
  • 파일이 utf-8로 저장되어있으면, 파일을 열때도 utf-8로 열어야한다.

@icstuckyi
Copy link
Owner

icstuckyi commented Jan 26, 2023

LESSON 03 랜과 왠

랜(LAN)과 왠(WAN)의 차이

  • 랜(LAN)
    • 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의 약어
    •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Ex. 건물 안,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image

  • 왠(WAN)
    • Wide Area Network(광역 통신망)의 약어
    •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Ex. 지역, 국가, 세계)에 구축된 네트워크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 LAN과 LAN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image

  • 랜과 왠의 비교
구분 랜(LAN) 왠(WAN)
범위 좁다(건물이나 특정 지역) 넓다(랜과 랜을 연결)
속도 빠르다 느리다
오류 적다 많다

@icstuckyi
Copy link
Owner

icstuckyi commented Jan 26, 2023

LESSON 0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결정해야 하는 것: ISP, 인터넷 회선
  •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 인터넷 공유기(broadband router, 가정용으로 만든 라우터)
  • 연결(접속) 방식:
    • 인터넷 공유기를 중심으로 내부 인터넷망을 구성하고, 다양한 기기를 연결한다.
    • 크게 유선 연결(유선 랜)과 무선 연결(무선 랜)로 나뉜다.

image

@icstuckyi
Copy link
Owner

icstuckyi commented Jan 26, 2023

LESSON 0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소규모 회사(SOHO 기업)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image

  • DMZ(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
    •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를 위치시킨다. (Ex. 웹 서버, 메일 서버, DNS서버 등)
    • 일반적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서브넷)이다.
    •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으로 외부 공격자가 내부 네트워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image

  • 서버 운영 방식 2가지

    • 온프레미스(on-premise): 사내 또는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방식.
    • 클라우드(cloud):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해서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
  • 온프레미스 서버 장비

    • 서버 장비실 안에 랙을 두고, 랙 안에 서버, 라우터, 스위치를 설치한다.
    •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장비. (본권 5장 참고)
    • 스위치: 각 서버나 사무실 내의 컴퓨터, 프린터 등 회사 내 장비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장비. (본권 4장 참고)

@icstuckyi
Copy link
Owner

LESSON 03~05 QnA

  • 인터넷 회선의 종류
    • 광랜(이더넷) : 기가 ~ 100Mbps
    • FTTH : 기가 ~ 100Mbps
    • 동축 케이블 인터넷 : 수백 ~ 수십Mbps
    • xDSL (ADSL, VDSL 등) : 수십 ~ 수Mbps

@icstuckyi icstuckyi self-assigned this Jan 26, 2023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1장 네트워크 첫걸음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