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終) #10

Open
icstuckyi opened this issue Mar 14, 2023 · 1 comment
Open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終) #10

icstuckyi opened this issue Mar 14, 2023 · 1 comment
Assignees
Labels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Comments

@icstuckyi
Copy link
Owner

icstuckyi commented Mar 14, 2023

Lesson 35. 무선 랜의 구조

1. 무선 랜이란?

  •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것.
  • 휴대성과 편의성이 좋은 반면,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해킹에 취약하므로 반드시 암호화나 인증 설정이 필요하다.
  • 무선 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WAP), 무선 공유기(무선 AP) 등),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등)로 구성된다.
  •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과 무선 랜 어댑터가 필요하다.
    image

2. 인프라스트럭처 방식과 애드혹 방식

  1. 인프라스트럭처 방식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이다. 보통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image

  2. 애드혹 방식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다.
    image

3. 무선 랜 규격

  • 무선 랜은 IEEE802.11 규격을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된다.
  • IEEE802.11 : 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인 IEEE에서 승인한 무선 랜의 표준화 기술이다.
무선 랜 규격 통신 속도(최대) 주파수 대역 특징
IEEE802.11ad 6.7Gbps 60GHz 초고속 통신이다.
IEEE802.11ac 6.9Gbps 5GHz 장애물이 많아도 고속 통신을 할 수 있고 전파 간섭을 적게 받는다.
IEEE802.11n 300Mbps 2.4GHz 대역 장애물에 강하지만 전파 간섭을 쉽게 받는다.
5GHz 대역 장애물에 약하지만 전파 간섭을 적게 받는다.
IEEE802.11a 54Mbps 5GHz 대역 장애물에 약하지만 전파 간섭을 적게 받는다.
IEEE802.11g 54Mbps 2.4GHz 대역 장애물에 강하지만 전파 간섭을 쉽게 받는다.
IEEE802.11b 11Mbps 2.4GHz 대역 장애물에 강하지만 전파 간섭을 쉽게 받는다.
  • 현재 11n 또는 11ac를 주로 사용한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 뿐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규격을 함께 지원해야 해당 규격을 사용할 수 있다.
    image
@icstuckyi icstuckyi added the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label Mar 14, 2023
@icstuckyi
Copy link
Owner Author

icstuckyi commented Mar 14, 2023

Lesson 36. SSID의 구조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할 때 내부적으로 어떻게 통신이 일어나는지 알아본다.

1. SSID(Service Set IDentifier)

  •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이름이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려면 SSID,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가 필요하다.
  • 필요한 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무선 클라이언트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찾을 수 없다.
  • 무선 랜 연결 과정
  1.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beacon)이라는 자신을 알리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기기에게 전송한다.
  2. 신호를 받은 무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SSID와 같은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게 문의한다.
  3. 같은 SSID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응답하고,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된다.
  4. 설정된 인증 방식이 올바른지 확인되면 무선 클라이언트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게 연결을 요청한다.
  5.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통신할 수 있게 된다.
    image

2. 채널이란?

무선 랜은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데, 그 분할한 주파수 대역을 채널이라고 한다.
image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전파가 약해져서 통신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를 클라이언트와 가깝게 여러 대 설치해야 하는데, 이 때 액세스 포인트끼리 서로 다른 채널을 설정해야 전파 간섭을 줄일 수 있다.
  • 서로 다른 채널을 설정하면 전파는 겹치지만 주파수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통신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 같은 채널을 사용하되 전파를 겹치지 않게 하려면 거리를 떨어뜨려 설치해야 한다.
  • IEEE802.11bIEEE802.11g 는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하더라도 일부에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에 유의해야 한다.
  • IEEE802.11a 는 각 채널 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전파가 겹쳐도 문제없다.

image
image

@icstuckyi icstuckyi changed the title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終) Mar 15, 2023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