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read every piece of feedback, and take your input very seriously.
To see all available qualifiers, see our documentation.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인프라스트럭처 방식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이다. 보통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애드혹 방식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다.
IEEE802.11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할 때 내부적으로 어떻게 통신이 일어나는지 알아본다.
무선 랜은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데, 그 분할한 주파수 대역을 채널이라고 한다.
IEEE802.11b
IEEE802.11g
IEEE802.11a
Sorry, something went wrong.
keiwin49
icstuckyi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Lesson 35. 무선 랜의 구조
1. 무선 랜이란?
2. 인프라스트럭처 방식과 애드혹 방식
인프라스트럭처 방식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이다. 보통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애드혹 방식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다.

3. 무선 랜 규격
IEEE802.11
규격을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된다.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