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단, 엄밀히 따지면 래퍼 객체가 내부 객체에 자기 자신의 참조를 넘기는 경우만 위임에 해당한다
이렇게 위임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이해가 잘 안가네요ㅠ 래퍼객체가 내부객체를 대신 호출해주는 정도로 위임을 생각했는데, 위의 이야기에선 자기 자신의 참조를 넘기는게 위임이라 설명해주는데("엄밀히" 따졌을때 한정..), 위임에 대해 어떤 예제코드가 있을 수 있을까요..?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
예전에 로그 남길 때 request 안에 stream이 이미 읽은 상태로 넘어와서
로그에 필요한 내용을 남기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request를 읽기 전에 request 타입을 상속받은 커스텀 request를 만들고 새로운 필터로 감싸면서
거기서 상위의 request를 상속 받아서 stream을 가져오고 복사해서 넣어두고 계속 읽을 수 있게 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거기서 상속대신 컴포지션을 했다면 이 내용에 맞는 내용일 것 같네요
p119의 중간에
이렇게 위임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이해가 잘 안가네요ㅠ 래퍼객체가 내부객체를 대신 호출해주는 정도로 위임을 생각했는데, 위의 이야기에선 자기 자신의 참조를 넘기는게 위임이라 설명해주는데("엄밀히" 따졌을때 한정..), 위임에 대해 어떤 예제코드가 있을 수 있을까요..?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